선지급금이란?
선지급금은 계약에 따라 상품, 원재료, 외주가공 등 미래에 발생할 비용이나 서비스를 위해 미리 지급하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주로 매입처에 상품이나 원재료를 구매하거나 제품의 외주가공을 위해 먼저 지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선지급은 비용 처리를 하는 방법도 독특합니다. 초기에 선지급금은 자산 계정(유동자산)으로 회계 처리합니다. 이는 미래에 경제적 이익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입니다. 이후 실제로 상품이나 서비스가 제공되면, 해당 금액을 자산에서 비용으로 대체합니다. 이를 통해 정확한 기간별 비용 인식이 가능합니다.
선지급금은 선금, 선급금 등으로 쓰이기도 하는데요. 선지급금과 혼동할 수 있는 용어는 아래와 같습니다.
용어 | 의미 |
---|---|
선지급금 | 상품·원재료 매입, 외주가공 등 자산 취득을 위해 미리 지급 |
선수금 | 선급금의 반대 개념으로 기업에서 상품 등을 판매하기 전에 미리 받는 돈(계약금) |
선대금 | 기업이 앞으로 지급할 금액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종업원 등 관계자에게 미리 지급하는 돈(가불금) |
중도금 | 계약금과 잔금 사이에 지급하는 금액 |
예수금 | 일시적으로 보관했다가 나중에 지급하는 돈 |
선지급을 하는 이유
선지급금은 프로젝트의 초기 자금 부담을 완화하고, 중단이나 지연 위험을 줄여 원할하게 진행되도록 돕습니다. 프로젝트 초기에 자재 구매, 인건비, 장비 대여 등으로 상당한 비용이 발생합니다. 선지급금은 수급인이 자금 부족으로 인해 공사나 생산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특히 자금력이 약한 협력사나 스타트업의 경우 선지급금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업종별 선지급금이 발생하는 사례
업종 | 발생 이유 |
---|---|
건설업 | 원자재 확보, 임금 지급 등 공사 진행을 위해 미리 지급 |
제조업 | 부품 재고 확보, 생산 준비를 위한 비용 선지급 |
소프트웨어 및 IT 산업 |
|
서비스업 (컨설팅, 광고, 연구개발 등) |
|
콘텐츠 산업 (영화, 드라마, 게임 등) |
|
교육 서비스업 |
|
출판업 | 도서 출판 계약 시 인세의 일부를 선지급 |
프랜차이즈업 | 가맹 계약 시 가맹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선지급 |
임대업 | 상가나 주택 임대 계약 시 보증금 외에 선납 임대료를 받는 경우가 있음 |
선지급금은 프로젝트 초기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건설업과 제조업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계약 상대방의 재정적 부담을 줄이고, 국가사업의 효율적 수행과 경제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로 ‘선금지급조건’을 마련해두었습니다. 선금지급조건은 계약 당사자의 권리와 의무, 지급범위, 지급 제한 사유 등을 정하고 있습니다.
스팬딧으로 선지급금을 관리하는 방법
스팬딧은 5,000여 개 기업이 사용하는 기업 지출 및 비용 관리 플랫폼입니다. 그중 지급·거래처 관리 기능은 회사에서 발생하는 이체 관련 지출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솔루션입니다. 결재, 이체 승인 및 선지급금 관리까지 스팬딧에서 한번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지급·거래처 관리 기능
스팬딧 지급 관리를 통해 거래처마다 발행된 매입 세금계산서, 인보이스 지출에 선지급금을 적용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용역 계약에서 선지급금 지불 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지 않고 잔금 지불 후 총 계약금액에 대한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 선지급금을 세금계산서의 총 계약금액에서 차감하고 실제 비용 처리하실 금액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추가된 지출(세금계산서, 인보이스, 선지급금)이 스팬딧에 등록된 거래처의 지출이라면, 거래처별로 사전에 지정된 은행정보(은행, 계좌번호)와 지급 요청일자 등이 자동으로 반영됩니다.
지출에 선지급금을 적용하는 방법이 궁금하시다면 이 페이지를 확인해주세요.
오늘은 스팬딧으로 선지급금을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평소 선지급금 관리로 고민을 하셨거나, 지급 및 거래처 관리 업무가 사업부별로 흩어져 있어 업무 진행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가요? 그렇다면 기업 지출 및 비용 관리 플랫폼 스팬딧을 찾아주세요. 스팬딧의 전문 매니저가 최적의 솔루션을 찾아 드리겠습니다.